안녕하세요.
나용입니다 !

벌써 10월 말이 다가왔습니다.
날씨도 추워지고, 점점 입는 옷도 두꺼워져서
가을이 온 걸 실감하게 돼요.
학교에도 낙엽이 많이 쌓이고 있어요.
특히 1공과 3공 사이에는 자그마한 공원이 있는데,
요즘은 그 공원에 낙엽이 많이 쌓여
걸을 때마다 바스락 소리가 나서
기분이 좋아진답니다.

오늘은 1공학관에서 수업을 듣는,
전기전자통신공학부의 연구실과,
바로 앞의 2공학관에서 수업을 듣는
컴퓨터 공학부에 대한 연구실을 소개해보려고 합니다.
** 학교 홈페이지에 상세히 나와있는 연구실만 소개하였습니다.
다른 랩실은 표로 대체하였으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전기전자통신공학부부터 시작해볼까요 ?
전기전자통신공학부는 전기 공학, 전자 공학, 정보통신 공학으로 나뉘어지는데요.
전기 공학은 전기기기, 전력계통, 전력전자 시스템을 설계, 개발할 수 있는 전기공학 기술자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합니다.
전자 공학은 전자 공학 전반적인 분야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 및 기술 습득을 교육하고, 주어진 문제를 창의력있게 해결할 수 있는 적응력을 배양하는데 교육의 중점을 둔다고 합니다.
마지막으로 정보통신공학은 통신 시스템 및 네트워크 시스템 개발능력과 시스템응용소프트웨어 개발능력을 가진 통신공학 기술자, 네트워크 시스템 개발자 및 소프트웨어 개발자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합니다.

이제 교수님들 연구 분야를 알아볼게요 :>
1. 김재희 교수님
김재희 교수님은 센서, EMI 및 EMC, 딥러닝, 무선급전에 대해 연구하신다고 합니다.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삼성전자 무선사업부에서 근무하셨고,
2012년부터 2020년까지 한구구철도기술연구원에서 근무하셨다고 하네요.
전기센서 연구실
학력 1998. 3. 1 – 2004. 8. 25 : 고려대학교 / 전기전자전파공학부 (학사) 2005. 3. 1 – 2010. 2. 17 : 포항공과대학교 / 전자전기공학과 (박사) 경력 2010. 4. 1 – 2012. 7. 31 :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책임 연구
sites.google.com
2. 장재영 교수님
장재영 교수님은 초전도 자석 자기장 해석, 그리고 초전도 자석 열전파 해석이라는 분야에 대해 연구하신다고 합니다.
또한 머신러닝 기반의 진단기법연구로 클러스터링, 예측기법을 통해 기술을 연구하신다고 하네요 !
연구분야소개
1) 연구 내용
sites.google.com
3. 강예구 교수님
강예구 교수님은 머신 디자인, 머신 컨트롤, 파워 전극, 파워 시스템에 대해 연구하고 계신다고 합니다.
연구실은 1공학관 F동 308호에 계십니다.
Design and control
[31253]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충절로 1600 (가전리, 한국기술교육대학교) 1공학관 F308 F308, 1-gonghack-guan, 1600, Chungjeol-ro, Byeongcheon-myeon, Dongnam-gu, Cheonan-si, Chungcheongnam-do, Republic of Korea Contact: k
sites.google.com
오용택 교수님 | - Electrical Power System Plan - Operation - Analysis - Distributed Energy Source Plan - Analysis - Electrical Power Protective - Control System Design |
오성철 교수님 | - Design of Power Conveter for Transportation System - Power supply - Motor controller |
노대석 교수님 | - New Energy System - Smart Grid |
백제훈 교수님 | - Engineering - Machine design - Motor control - Power conversion - Wireless Power transfer |
안치형 교수님 | Applied Electromagnetics |
김재희 교수님 | Electric sensors, 6G antennas,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s, Antenna design based on AI |
장재영 교수님 | Superconducting magnet system |
에이제이 교수님 | - Model predictive Control - Distributed and networked Control - Robust Control |
강예구 교수님 | Electromagnetic machine design and control |
조현찬 교수님 | - Bioelectronics - Bioinformatics - Neural networks - Fuzzy system |
서화일 교수님 | - Semiconductor Processes & Equipments - Solar Cell Processes & Equipments |
신동욱 교수님 | Image Processing, Microprocessor Application |
임재열 교수님 | Speech and Image Signal Processing, Machine Learning, ANC, Visual Inspection, DSP Real-Time Implementation |
강성진 교수님 | - Wireless MODEM algorithms - Channel Coding - MODEM SoC design - x-x-x-embedded Systems |
최강선 교수님 | Computer Vision, AI, Image Processing |
박종운 교수님 | - OLED display - OLED lighting - Optoelectronic devices |
김용재 교수님 | - Electromechanical design and control of physically interactive robots - Compliant manipulators and hands - Medical/rehabilitation robots - Soft and hyper-redundant robots |
김한종 교수님 | - Digital broadcasting &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Signal processing and microprocessor application |
강승찬 교수님 | - IMS -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 Engineering Education |
이명의 교수님 | Microcomputer Design, Embedded Systems, Digital Controls, System S/W, Satellite Systems |
오창헌 교수님 | Radio & Mobile Communications |
이재오 교수님 | Network Management, Network Slicing Technology, Federated Edge-based Distributed Computing |
박형근 교수님 | - Wireless ad-hoc networks - Cognitive radio networks - Mobile Communications |
설순욱 교수님 | - Mobile Computing - 5G - IoT - SDN - Quality of Service - Protocol Testing |
우성민 교수님 | Color Constancy, Image & Color Processing, Computer Vision, Trustworthy Deep Learning |
전기전자통신공학부의 일상이 궁금하시다면 !
위 링크를 참조해주세요 :)
다음으로는 컴퓨터 공학부의 교수님 연구분야를 살펴볼게요 !
그 전에, 컴퓨터 공학부는 어떤 학과인지 살펴봐야겠죠 ?
컴퓨터 공학부는 인간 중심의 지능정보화 컴퓨팅 기술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것을 비전으로 설정하고,
인간 중심 지능정보 기술의 글로벌 교육을 선도하는 것을 미션으로 설정하고 있습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사물 인터넷, 소프트웨어, 인공지능 세 분야가 있으며
상호 연계성이 강한 분야의 특성상 컴퓨터 공학/ 컴퓨터 과학의 핵심적인 이론과 지식교육을 기반으로
여러분야의 융합적인 교육이 가능하도록
스마트 IOT 트랙, 소프트웨어 트랙, AI 트랙 세 개의 트랙을 두고 특성화 분야의 심화 교육을 수행한다고 합니다.

1. 이강환 교수님
이강환 교수님은 상황 인식 추론 네트워크, 토폴로지 제어, 네트워크 구성 등을 연구하시는데요,
수상 이력을 보니 굉장히 다양한 상을 받으셨고, 한국전자통신연구원과 협업하여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였습니다.
UoC(Ubiquitous System on Chip) Home Page
uoclab.kut.ac.kr
2. 문일영 교수님
문일영 교수님은 다양한 모바일 기기와 유선 네트워크 기기간의 효율적인 통신을 위한
융합네트워크 기술, N-스크린에서 사용자 친화적인 UX 및 웹 기반 플랫폼 기술,
인공지능의 딥러닝 모델 및 강화학습 분야에 관련된 기술을 연구하신다고 합니다.
Next Generation Network Laboratory
Location: 2공학관 243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충절로 1600(가전리, 한국기술교육대학교 Email: zeros952@koreatech.ac.kr Call: +82 10 5555-6666
ngn.koreatech.ac.kr
3. 김상연 교수님
김상연 교수님은 햅틱 기술을 사용하여 몰입형 가상 현실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입니다.
이에 햅틱 엑추에이터 및 센서, 햅틱 렌더링 방법을 연구하고 계시고
몰입형 VR 기반 모션 햅틱 시뮬레이터를 개발하고 있다고 하십니다.
Interaction Lab.
Welcome to Interaction Lab.
sites.google.com
4. 한연희 교수님
한연희 교수님은 딥러닝을 연구하시는데, 멀티암드 관련 코드 및 마르코프 결정 과정 관련 코드 그리고
동적 프로그래밍의 실험, 몬테카를로 예측, 시간차 예측 등의 다양한 코드를 사용하여 연구하십니다.
한국기술교육대학교 LINK 연구실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지능네트워크 연구실
link.koreatech.ac.kr
5. 강승우 교수님
강승우 교수님은 모바일 및 IOT 컴퓨팅에 중점을 두고 혁신적인 컴퓨터 시스템과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연구를 진행합니다.
실제 문제 식별, 새로운 모바일,IOT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아키텍쳐, 기술 및 시스템 설계,
해결책으로는 작업 프로토타입 구축에 관심이 있다고 하십니다.
6. 김덕수 교수님
김덕수 교수님은 고성능컴퓨팅, 딥러닝, 홀로그램, 가상현실, 자율주행에 대해 연구하고 계신다고 합니다.
현재 딥러닝 기반 홀로그램 해상도 연구, 초고해상도 홀로그램 생성을 위한 고성능 CGH기술 개발 등
다양한 연구를 진행한다고 합니다 !
HPC Lab., KOREATECH - PROJECTS
Contracts and Grants Current support 초고해상도 홀로그램 생성을 위한 고성능 CGH 기술 개발,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NRF, PI, 2021.06~2026.05 딥러닝 기반 홀로그램 해상도 개선 연구, ETRI, PI, 2022-2024 자
sites.google.com
7. 오흥선 교수님
오흥선 교수님은 언어 및 비전 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인지 환경을 파악해 심층 지능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딥러닝, 기계학습, 자연어 처리, 컴퓨터 비전 및 정보검색을 주로 연구 주제로 다루신다고 합니다.
DICE LAB
Recruiting I'm seeking self-motivated MS and PhD students who will perform research for deep learning, machine learning, natural languageprocessing, computer vision, information retrieval, etc. Please feel free to contact me if you are interested in those
www.dicelab.kr
8. 문성태 교수님
문성태 교수님은 딥러닝 지원 스마트 무인차 개발에 집중하고 계신다고 하는데요,
여러 대의 UAV를 제어하기 위한 군집 비행 시스템을 개발하고 시연하셨다고 합니다.
현재는 주로 군집 비행 임무를 위한 네비게이션 알고리즘, 실시간 물체 감지 및 이미지 등록에 집중하고 계신다고 합니다 !
연구주제는 스웜 플라이트 시스템, 비행 제어 컴퓨터, 칼만 필터와 같은 딥 러닝 지원 베이지안 필터링,
UAV 이미지를 위한 실시간 객체 감지, 딥러닝을 기반으로 한 이미지 등을 연구하고 계신다고 합니다.
SUV Lab.
About our laboratory
sites.google.com
김은경 교수님 | - Intelligent Agent - Deep Learning - Inventive Problem Solving with TRIZ |
조태훈 교수님 | - Computer Vision |
장경식 교수님 | - H/W-S/W Co-design - Realtime Sensing System - Data Reversing |
최영규 교수님 | - Machine Vision - Video Surveillance |
김상진 교수님 | - Cryptographic Protocol Design and Analysis - Privacy |
조재수 교수님 | - Automatic Visual Inspection - Pattern Recognition - Machine Vision |
박승철 교수님 | - Multimedia Networks - Network Security - Privacy Protection |
이강환 교수님 | - Wireless Sensor Network |
김윤상 교수님 | - Virtual Reality - Virtual Training - Bioinfomatics |
민준기 교수님 | - Query Processing - BigData, Mapreduce |
문일영 교수님 | - Wireless Internet(WAP, Wireless TCP,Bluetooth, WLAN, etc) |
서희석 교수님 | - Network Security |
김상연 교수님 | - Haptics, virtual reality, Sensor and actuator, Haptic Rendering |
한연희 교수님 | - Deep Reinforcement Learning, Intelligent Networking and Operations Research in 5G/6G, Intelligent Internet of Things |
강형주 교수님 | - VLSI system design - Microprocessor design - Communication modem design - CAD algorithm |
주영복 교수님 | - Automatic Optical Inspection - Pattern Recognition |
무하마드 교수님 | - 3D Shape Reconstruction - Image Processing and Analysis - Machine Learning |
강승우 교수님 | - Mobile and Ubiquitous Computing - Power-efficient Mobile Systems - Mobile Social Computing - IoT Systems |
김원태 교수님 | - Cyber-Physical Systems - Digital Twin Platform - Metaverse Computing |
오흥선 교수님 | - Artificial Intelligence - Deep Learning - Natural Language Processing - Computer Vision |
김덕수 교수님 | - High performance computing - Robotics - Deep learning - Computer generated hologram |
문성태 교수님 | smart swarm unmanned vehicles system |
이재협 교수님 | - Computer Graphics - Virtual Reality |
정구철 교수님 | - Modulation - Electromagnetic wave analysis |
윤한경 교수님 | - A.I. |

컴퓨터 공학부의 더 자세한 학부소개 영상이 보고싶으시다면
위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

오늘은 이렇게 전기전자통신공학부와 컴퓨터 공학부에 계시는 교수님의 연구분야를 알아보았습니다 !
사실 저는 에너지신소재공학부라 타 공학부에 계시는 교수님들은 얼굴도 익숙치 않고,
수업도 잘 들어보지 않았는데 오늘 뵈니까 경력과 연구분야가 어마어마한 교수님들이 계셔서 정말 놀랐습니다.
기회가 된다면 대학원에 진학해서 해당 교수님들의 강의를 들어보고 싶은 마음도 생긴 것 같아요 ㅎㅎ.
그럼 저는 다음에 더 좋은 주제를 들고 찾아올게요 ! 감사합니다 :)
'Univers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 직업훈련 플랫폼 STEP] 옷장 속 패션 ! 패션 강의 및 쇼핑몰 추천 3곳 -ˋˏ ༻🥀༺ ˎˊ- (0) | 2022.11.01 |
---|---|
[스마트 직업훈련 플랫폼 STEP] 천안 맛집과 함께 소개하는 식탁 위의 세계사 ⋆꒰🍨꒱⋆ (0) | 2022.11.01 |
[스마트 직업훈련 플랫폼 STEP] 취업 치트키 모음.ZIP ५✍⋆* (0) | 2022.10.31 |
[스마트 직업훈련 플랫폼 STEP] 겨울엔 역시 이불 덮고 책 읽기 ୧ ‧₊˚ 🍮 ⋅ ☆ (0) | 2022.10.30 |
[스마트 직업훈련 플랫폼 STEP] 세계가 주목하는 인도네시아 *.❅·🧣⋆·˚ ༘ (1) | 2022.10.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