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University

[한줌단]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기계공학부&메카트로닉스 랩실 소개 ✩°。⋆⸜ 🎧

by 나는 나용 2022. 10. 14.

안녕하세요, 나용입니다 :>

 

요즘들어 날씨가 정말 쌀쌀해진 것 같아요,

저도 너무 추워서 벌써부터 기모 후드집업을 꺼내기 시작했답니다.

 

봄여어어어어어어엉어어름갈겨우우우우웅우우우우웅ㄹ이라더니

그 말이 딱 .. 지금을 두고 하는 말이 아닐까요 ?

 

가을이 어디로 간 건지도 저는 모르겠어요 ,,

하지만 가을이 옴에 따라 저희도 축제를 했답니다 J

 

릴보이가 와서 공연도 보고, 여러 다채로운 동아리들이  그동안 연습해왔던 것을

보여주셔서 정말 눈이 호강하는 그런 축제였던 것 같아요 !

 

하지만 역시나 졸업작품을 준비하는,, 4학년은 열심히 랩실에 남아 작품을 준비했다고 하는데요

집중학기제인 기계공학과는 축제를 즐기고 집중학기제가 아닌 메카트로닉스공학과는 축제를 즐기지 못했을 것으로,,

예상하는 바입니다 ..

 

그래서 오늘은 기계공학과와 메카트로닉스 공학과에 대해 랩실을 소개해보려고 해요 :>

 

시작해볼까요 ?

 

 

 

 


 

 

 

** 해당 학과들은 홈페이지에 있는 내용을 참고하였습니다.

홈페이지에 연구분야가 상세히 기록되어 있는 교수님을 중점적으로 소개하였습니다.

 

 

우선 기계공학과는 자동차 분야의 핵심인력을 양성하는 학과라고 홈페이지에 적혀있어요!

기계공학은 힘과 에너지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장치, 기계, 제품을 창조해

인류의 삶을 풍요롭게 하고 현대 산업사회에 적용되는 공학 중 근간이 되는 학문이고

응용분야가 광범위한 기반학문이라고 합니다.

컴퓨터를 이용한 계산, 수치해석, 설계공학, 기계제작, 동력공학, 생산공학 등 정말 광범위한 학분분야가

기계공학에 포함된다고 하네요 !

어떤 교수님께서 기계공학과에 계실 지 알아보겠습니다.

 

 

1.     이정훈 교수님

이정훈 교수님은 블랙카본(black carbon), 기후변화(climate change), 디젤엔진(diesel engine), 에어로졸(aerosol) 등을 연구하시면서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 대기환경분과위원장으로 활동하고 계신다고 하는데요,

우수논문상을 여러차례 수상하셨고, 현대-기아 자동차에서 승용디젤엔진을 개발하시기도 했답니다. 

 

 

 

2.     이우영교수님

이우영교수님은 정밀제조공정 및 제품설계를 연구하시고, 굉장히 다양한 위원을 역임하셨습니다. 교육부 글로벌 인재포럼 자문위원, 여성가족부 정책자문위원 등 다양한 위원을 역임하시고 대한민국 참 교육 대상이라는 상도 수상하셨습니다. 국방과학연구소에서 선임연구원을 맡으신 경력도 있습니다 !

 

 

3.     유승열 교수님

유승열 교수님은 로봇, 자동화, 인공지능 진단, 그리고 알루미늄을 사용한 그린에너지 분석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하시는 교수님이고, 연구실은 공학1관 D309에 있습니다.

 

 

4.     유승한 교수님

유승한 교수님은 현대자동차에서 책임연구원을 맡으신 경험이 있고, 한국자동차공학회에서 여러 이사를 맡으셨어요. 주요 연구분야는 차량운동 모델링, 제어 및 고장진단, 친환경차제어, 차량통합안전제어 등을 연구하십니다.

 

 

 

5. 김승모 교수님

 

김승모 교수님은 마이크로, 나노 패터닝 및 복합재료에 대해 연구하시는데요,

 홈페이지에 들어가보면 CFD, CVD, PVD, ALD등 반도체 관련 공정도 다루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TEMPL

Thermal Engineering & Manufacturing Process Lab. 생산열공정 연구실

sites.google.com

 

 

 

6. 박승경 교수님

 

박승경 교수님은 복합유체 실험실을 운영하고 계시는데요, 미세유체 플랫폼에 대한 다중물리 공역 유체 현상, 콜로이드 및 에어로졸 조작, 생체분석 처리에 대한 연구를 하신다고 합니다. 자동차 부품 및 전자 장치에 대한 유량 및 열전달 분석, 마이크로 나노 입자의 분리 및 여과가 응용 분야에 사용된다고 합니다.

 

 

Complex Fluids Lab (CFL)

Complex Fluids Laboratory at Koreatech focuses on the research of multi-physics conjugated fluid phenomena, colloid and aerosol manipulations, and bio-analytical processing on microfluidic platforms. Research applications include flow and heat transfer ana

sites.google.com

 

 

7. 박성제 교수님

 

박성제 교수님은 기계공학, 화학공학 그리고 생명공학 분야에서 응용에 중점을 두고

지속가능한 재료 가공 및 미세 제조 기술에 대한 연구를 하신다고 합니다.

 

https://sites.google.com/site/mpplabsite/

 

Sustainable Materials Processing LAB.

SMP Lab. is involved in research on sustainable materials processing and microfabrication technologies with a focus on its applications at the interface of mechanical engineering, chemical engineering and bio-engineering.

sites.google.com

 

 

 

 

 

8. 김병철 교수님

 

김병철 교수님은 스마트 디자인 연구실을 운영하고 계시는데, 이는 설계자의 지능과 노하우를 컴퓨터 프로그램에 담아 쉽고 빠르게 자동으로 설계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기계, 조선, 항공 등 다양한 분야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컴퓨터와 관련된 모델링에 관심이 있으시다고 합니다.

 

 

SmartDesign Lab.

스마트 디자인 연구실(SmartDesign Lab)은 설계자의 지능과 노하우를 컴퓨터 프로그램에 담아 쉽고 빠르게 그리고 자동으로 설계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기계, 조선, 플랜트, 항공 등 다양한

smartdesign.koreatech.ac.kr

 

 

 

 

9. 우창규 교수님

 

우창규 교수님은 바이오, 미세먼지, 입자포집 및 에어로졸 등 연구분야를 넓게 운영한다고 하십니다. 또한 많은 정부 부처 및 기업과 협업을 하여 현재 대학원생을 모집하고 있다고 하십니다

 

 

Woo Lab

WOO LABORATORY in Koreatech is mainly interested in aerosol, particulate matter, indoor air quality, capturing particles and biology. Our experiments not only focus on researching on aerosol, but also applying aerosol to many other fields.

sites.google.com

 

 

 

10. 라문우 교수님

라문우 교수님은 정밀 성형 기술멀티스케일 제작나노단위의 표면공정 연구를 진행한다고 하십니다.

 

 

MMP Lab. - Research

Precision Molding Technologies

sites.google.com

 

 

 

 

11. 박병재 교수님

 

박병재 교수님은 로봇인식, 기계학습, 센서 융합, 매핑 및 현지화에 대해 연구하시고, 연구실은 공학 1관에 있다고 합니다.

 

 

Byungjae Park

Byungjae Park Assistant Professor at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 Contact bjpark4d (at) gmail (dot) com / bjp (at) koreatech (dot) ac (dot) kr

sites.google.com

 

 

12. 유형민 교수님

유형민 교수님은 고분자 및 고분자 매트릭스 복합체의 제조 공정을 설계하고, 구조적 합성물 및 기능성 합성물의 적용을 위해 물리적, 그리고 수학적 이해를 가진 재료의 열정 특성과 기계적 거동을 분석한다고 합니다.

 

AMML

Welcome! We are interested in designing the manufacturing processes of polymer and polymer matrix composites. For the application of Structural composites (GFRP, CFRP, Recyclable or Bio-degradable polymer based) and Functional composites (Sensor, Actuator,

sites.google.com

 

 

 

 

https://www.youtube.com/watch?v=KHigR1wJvNI&t=3s

우선 기계공학부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

위 링크에 재학 생들이 직접 출연한 재밌는 기계공학부 소개영상도 있으니 참고해주세요!

 

 


 

메카트로닉스 공학부도 알아볼까요 ?

 

메카트로닉스 공학과는 기계, 전자의 합성어로 기계공학, 전기전자공학 및 컴퓨터 기술을 융합하여

지능형 기계 전자 시스템을 설계하고 제작하는 기술분야로 자동화, 로봇, 반도체 등

다양한 산업현장에 폭 넓게 사용되는 필수적인 공학분야입니다.

 

메카트로닉스 공학부의 경우, 전공이 세 개로 나뉘어져 있어서 분류해서 소개해드릴게요.

 

 

우선 생산시스템 전공입니다.

 

 

 

1.     박진형 교수님

박진형 교수님은 SOFT한 형태의 센서,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 액추에이터를 연구하시는데 이는 웨이러블 디바이스, 자가발전형 iot 센서, 유연한 로봇의 핵심 요소 기술이라고 합니다. 해당 랩실은 홈페이지도 따로 운영을 하고 계시네요.

https://cms3.koreatech.ac.kr/asd/5753/subview.do

 

About Lab

 

cms3.koreatech.ac.kr:443

 


 

2.     정승현 교수님

정승현 교수님은 4차 산업혁명의 영향으로 기존에 제조업에서 추구하던 자동화를 뛰어넘어 공장에 스스로 움직이고 판단하는 지능을 부여하는 제조 지능화에 대한 요구가 커지며 최신의 인공지능 기법을 통한 설계 지능화, 공정 지능화, 검사 지능화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고효율, 고 성능 제품생산을 위한 설계 및 공정 최적화를 주요 연구 목표로 하고 있다고 합니다.

https://sites.google.com/view/aimlab-koreatech/home

 

AIM Lab.

4차 산업혁명의 영향으로 기존에 제조업에서 추구하던 자동화를 뛰어넘어 공장에 스스로 움직이고 판단하는 지능을 부여하는 제조 지능화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본 연구실은 최신의 인공

sites.google.com

 

 


 

 

3.     김종팔 교수님

김종팔 교수님은 인터페이스를 연구하는 랩실을 운영하고 계세요. 대학원생은 3명이 있고, 전자약, 인터페이스 회로, 헬스케이 등을 접목하는 연구분야입니다.

https://cms3.koreatech.ac.kr/interface/5689/subview.do

 

RESEARCH

 

cms3.koreatech.ac.kr:443

 

 


 

 

4.     김병기 교수님

김병기 교수님은 센서소재 정밀측정에 대한 기초 응용 연구를 하십니다 번째로 마이크로폰과 같은 MEMS NEMS 센서, 번째로 기능성 복합재료, 번째로 광간섭을 이용한 거리 진동 측정 분야를 연구하십니다.

 

 

HOME | small

“Ask and it will be given to you; seek and you will find; knock and the door will be opened to you. For everyone who asks receives; the one who seeks finds; and to the one who knocks, the door will be opened." Matthew 7:7-8 

bkikim87.wixsite.com

 

 

김택근
교수님
-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Future Vehicles
- Thermal Fluid Theory
안채헌
교수님
- Dynamic System Design & Analysis
- Active Vibration Control
- Micro Vibration for Semi- Conductor Fab.
- Machine Condition Diagnosis
- Smart Factory
김종팔
교수님
- MEMS-based Transducers: Accelerometer, Gyroscope, Contact Force Array, Neural Electrode 
- Sensor ROIC: Microphone, Temperature
- Bio-signal Sensing Circuit: ECG, PPG, Impedance, Neural Signal
- Electroceuticals
박진형
교수님
- Energy Harvesting
- Flexible sensor & actuator
- Electropackage Reliability
이 석
교수님
- Camera, Display Image Processing
- Computer Vision
- Hologram, Light Field Display
황중기
교수님
- Computer aided product and process design
- Computer aided manufacturing 
- Advanced materials and their manufacturing process
정승현
교수님
 Intelligent manufacturing
∙ Design intelligence - Structural optimization based on CAE
∙ Process intelligence - Process analysis algorithm based on AI
∙ Inspection intelligence - Defect detection algorithm based on AI
천병식
교수님
∙ Flexible endoscope robot
∙ Laparoscopic surgical robot
∙ Surgical robot master device

 

메카트로닉스 공학과의 교수님의 연구분야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위의 표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

 

참고 부탁드립니다 :)

 

 
 

https://www.youtube.com/watch?v=8GrC6hR-2eU

 

메카트로닉스에 대한 학부 소개 영상도 있으니

많관부 부탁드려요 **✿❀○❀✿**

 

 


 

 

 

 

오늘은 이렇게 기계공학부와 메카트로닉스 공학부의 교수님과 랩실을 알아보았습니다 !

다만 아쉬운 점은 학과 홈페이지에 잘 나와있지 않아서 관심있는 학생들은 세부적으로 찾아보기 어렵다는 점이었어요.

예비 입학생이나 재학생들도 관심있게 찾아볼 수 있도록

교수님들의 연구분야를 세세하게 적어주셨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가져봅니다 !

 

그럼 다음에 만나요 -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