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나용입니다 :>
저는 대학교에 들어와서
자치단체 활동을 3번정도 했던 경험이 있는데요 !
아무래도 디자인 쪽에 능숙하다보니,
3번의 경험 모두 디자인팀에 속해서
열심히 활동을 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ㅎㅎ

디자인공학과가 아닌 이상, 포토샵과 일러스트를
다루는 것은 보기 드문 현상이라서
근로장학생을 해도, 자치단체 활동 중에도
어떻게 배웠냐는 질문이 참 많았아요.
저는 초등학교 때 독학해서 지금까지
잘 활용하고 있는 케이스였고,
일러스트 같은 경우 대학교에 와서
현수막 제작을 위해 급하게 독학했답니다.
사진 편집 프로그램의 경우 ,
하나를 능숙하게 다룰 수 있다면
시스템과 툴이 비슷해 다른 프로그램도 금방 비슷하게
다룰 수 있어 처음 보는 프로그램이라도
금방 배우게 되는 것 같습니다 !

오늘은 건축, 디자인 공학과에 계신 교수님들의
연구분야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 해당 내용은 학교 홈페이지에서 참고하였습니다.
건축 공학과부터 시작해볼까요 ?

1. 김상섭 교수님
김상섭 교수님은 강구조에 대해서 연구하신다고 합니다.
2. 김남호 교수님
김남호 교수님은 건설재료에 대해서 연구하시고, 사무실은 2공학관 225호라고 합니다.
3. 김기주 교수님
김기주 교수님은 건축사, 그리고 건축설계 및 계획에 대해 연구하신다고 합니다.
4. 박광범 교수님
박광범 교수님은 건축설계 및 계획에 대해 연구하신다고 하고, 사무실은 2공학관 228호 입니다.
5. 이승재 교수님
이승재 교수님은 내진설계에 대해 연구하신다고 합니다. 내진설계가 점차 우리나라에서도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고, 제 전공과 관련이 있기도 해서 개인적으로 정말 궁금한 분야인데 대학원 가서 수업을 들어보고 싶은 교수님이네요 !
6. 김혁기 교수님
김혁기 교수님은 건축설계 및 계획을 연구하신다고 하고, 사무실은 2공학관 227호 입니다.
7. 최재현 교수님
최재현 교수님은 건설 관리에 대해서 연구하신다고 합니다.
8. 이진강 교수님
이진강 교수님은 BIM, 건설IT에 대해서 연구하신다고 합니다. BIM이라는 단어가 생소에서 찾아본니 디지털 방식으로 건물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정확한 가상 모델을 생성하는 기술이라고 하네요 ! 설계를 단계별로 지원하고, 수동 프로세스보다 더 효과적인 분석과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고 합니다. 완성된 가상 모델은 정교하고, 건설기간동안 피리요한 시공, 제작, 조달 활동 등의 모든 데이터를 포함한다고 합니다.
건축공학부에 관심 있으신 분들은
해당 영상을 참고해주세요 :)
김상섭 교수님 | - Composite Structure |
김기주 교수님 | - Architectural History - Architectural Design and Planning |
김남호 교수님 | Construction Materials, Material Characterization, Infrastructure Maintenance |
박광범 교수님 | - Architectural Design and Planning |
김혁기 교수님 | - Architectural Design and Planning |
이승재 교수님 | - Earthquake-Resistance Structure |
최재현 교수님 | Project Integration & management, Contract and risk management, Strategic analysis |
이진강 교수님 | BIM, Construction IT, Smart Construction |
다음은 디자인 공학부도 알아봐야겠죠 ?

1. 문무경 교수님
문무경 교수님의 연구분야는 디자인 방법이라고 하고, 연구실은 2공학관 204호 입니다.
2. 윤정식 교수님
윤정식 교수님 연구분야는 CAID라고 합니다. CAID는 컴퓨터 지원 건축 디자인이라는 용어이니데요, CAD에서 나온 파생어로 건축 부분에 대한 보완사항을 추가로 더 구성하여 만든 보조장치를 의미한다고 합니다. 건축 설계에 있어 컴퓨터를 중심으로 한 디지털 미디어를 효과적으로 활용해 설계 품질을 향상하고, 설계자가 보다 창조적인 작업에 노력을 투자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설계 프로세스를 전산화함으로써 기획에서 설계, 시공, 사후관리에 이르기까지 자동화된 기법으로 건축물의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통합된 디지털 모델을 구축하는 작업이라고 합니다.
3. 정광태 교수님
정광태 교수님의 연구분야는 응용인체 공학 및 설계 분야이고, 연구실은 2공학관 203호라고 합니다.
4. 김태균 교수님
김태균 교수님의 연구분야는 디지털 미디어 디자인입니다.
5. 홍주표 교수님
홍주표 교수님의 연구분야는 제조용 설계입니다. 가끔 물건을 보면서 왜 이렇게 제작하고 설계하는지 종종 궁금했는데 홍주표 교수님의 수업을 들으면 해결될 것 같아서 수강하고 싶은 교수님 중 한 분입니다 !
6. 김성준 교수님
김성준 교수님은 제품 포밍에 대해서 연구하신다고 합니다. 저는 바나나 우유를 보면서 항상 왜 이렇게 뚱뚱한 플라스틱 모양을 채택했는지 궁금했는데, 아마 김성준 교수님의 수업을 들으면 그런 의문이 풀릴 것 같아 대학원에 입학하게 된다면 꼭 들어보고 싶은 수업 중 하나입니다.
7. 정주영 교수님
정주영 교수님은 제품 디자인에 대해서 연구하신다고 합니다, 연구실은 2공학관 201호라고 합니다.
8. Pier Paolo Capestrani 교수님
카페스트라니 교수님은 기본 디자인 및 CMF에 대해서 연구하신다고 합니다. CMF란 Color + materials + finishing 을 합친 용어의 약자인데, 색, 소재, 마감을 어떻게 구현할 지 엔지니어적으로 접근하고 패턴 및 디자인, 디테일 관리도 해야한다고 합니다. 디자이너로서 꼭 갖춰야 하는 능력이며, 미적인 감각도 중요하지만 프로세스나 기계적인 이해도도 높아야 하는 분야라고 합니다.
디자인 공학부의 더 자세한 일상을 보고 싶으시다면
위 영상을 참고해주세요 !
문무경 교수님 | Design Methodology |
윤정식 교수님 | CAID |
정광태 교수님 | Applied Ergonomics and Design |
김태현 교수님 | Digital Media Design |
홍주표 교수님 | Design For Manufacturing |
김성준 교수님 | Product formgiving |
정주영 교수님 | Product Design |
Capestrani, Pier Paolo 교수님 |
Basic Design, CMF(Color, Material, Finish) |
오늘은 이렇게 디자인 공학부와, 건축 공학부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
저는 디자인에 관심이 참 많은데, 이번 기회에 디자인공학과 교수님들의 연구분야를
세세히 알 수 있어서 정말 재밌게 조사했던 것 같아요 !

사실 에너지신소재화학공학부 특성 상 건축공학과나, 디자인공학과 학우분들과는
수업이 잘 겹치지 않고, 공학관도 같이 쓰지 않아서
다소 어색한 경우가 많아 서로 공감되는 주제가 많지 않는다는 걸
친구와 대화할 때 종종 느끼곤 한답니다.
이번 랩실 소개를 통해서 친구와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고,
친구의 학부에 대해서 더 자세히 알 수 있어서
내심 뿌듯한 마음이 듭니다 !

저는 다음에 더 좋은 주제로 학교 생활의 전반적인 것을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
감사합니다.
'Univers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 직업훈련 플랫폼 STEP] 22년 하반기 인기 강좌 소개 ۰۪۫ ۪۫☃۰۪۫ ۪۫ (0) | 2022.11.10 |
---|---|
[스마트 직업훈련 플랫폼 STEP] 하루 7분으로 상식 쌓기 ・゚✧*:・゚✧ (0) | 2022.11.07 |
[스마트 직업훈련 플랫폼 STEP] 미래를 이끄는 수소에너지 ⋆⁺⋆。🦋₊⋆°⋆ (0) | 2022.11.02 |
[스마트 직업훈련 플랫폼 STEP] 옷장 속 패션 ! 패션 강의 및 쇼핑몰 추천 3곳 -ˋˏ ༻🥀༺ ˎˊ- (0) | 2022.11.01 |
[스마트 직업훈련 플랫폼 STEP] 천안 맛집과 함께 소개하는 식탁 위의 세계사 ⋆꒰🍨꒱⋆ (0) | 2022.11.01 |
댓글